(경향신문)살아남지 못한 자들의 책 읽기

2017-07-14 16:22
postech

우리의 역사는 시대와 불화했던 청년들이 읽어낸 만큼의 역사다!

 

제목

살아남지 못한 자들의 책 읽기

저자

박숙자

분야

역사/문화

출판

푸른역사(2017.3)

 청구기호

Z1003.5.K6 .박56 2017

 

 

 

<책 소개>


우리의 역사는 시대와 불화했던 청년들이 읽어낸 만큼의 역사다!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청년들의 책 읽기에 주목한 독서문화사 『살아남지 못한 자들의 책 읽기』. 이념 과잉의 시대를 견뎌야 했던 최인훈의 소설 《광장》의 주인공 ‘준’, 혁명의 뒤끝을 앓아야 했던 김승옥 소설 《환상수첩》의 ‘정우’ 그리고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란 스테디셀러를 쓴 전혜린, 인간답게 살고 싶었지만 결국 스러진 전태일을 주인공으로 문학이란 키워드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의 이면을 파헤친다.
누구든지 제몫이 없는 청년으로 살아가야 했던 해방 이후. 이들은 시대와 불화하며 책을 통해 치열하게 더 나은 삶을 꿈꾸었다는 점에서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각각의 시대를 상징한다. 국가가 무엇인지 고뇌했고, 혁명에 좌절했으며, 여성과 노동이 무엇인지 물었고 이들이 읽고 던진 물음으로 우리 삶의 지도는 단단해졌다. 저자는 바로 그렇게 책을 읽으면서 더 나은 세상을 상상했던 청년들의 이야기를 탄탄하고 명징한 문장으로 치밀하게 담아내고자 했다.
 
 
 

<출판사 서평>


‘자유 대한’에서 ‘유신 체제’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불화했던 ‘청년’ 4인의 책 읽기, 그리고 꿈과 좌절
[《속물교양의 탄생》으로 화제가 되었던 박숙자(경기대 교수)의 두 번째 작품]
책 읽기란 ‘탐침’으로 꿰뚫은 한국 현대사
‘독서문화’는 시대를 읽어내는 데 유용한 ‘탐침’이 될 수 있다. 당대에 어떤 책이 어떻게 읽혔는지 알면, 지층의 단면을 보고 지형의 변화를 짚어내듯 시대의 풍경이 손에 잡힌다.
이 책은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청년’들의 ‘책 읽기’에 주목한 독서문화사다. 해방 이후 누구든지 ‘제몫’이 없는 ‘청년’으로 살아가야 했다. 문학이란 키워드로 한국 근현대사의 이면을 파헤치는 데 골몰한 저자는 이 중 문학과 현실에서 4인을, 시대를 읽는 ‘문화적 탐침’으로 주목했다. 이념 과잉의 시대를 견뎌야 했던 최인훈의 소설 《광장》의 주인공 ‘준’, 혁명의 뒤끝을 앓아야 했던 김승옥 소설 《환상수첩》의 ‘정우’ 그리고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란 스테디셀러를 쓴 전혜린과 인간답게 살고 싶었지만 결국 스러진 전태일이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시대와 불화하며 책을 통해 치열하게 더 나은 ‘삶’을 꿈꾸었다는 점에서 각각의 시대를 상징한다. 이들은 ‘국가’가 무엇인지 고뇌했고, ‘혁명’에 좌절했으며, ‘여성’과 ‘노동’이 무엇인지 물었다. 이들이 읽고 던진 물음으로 우리 삶의 지도가 단단해졌다. 우리 역사는 그 청년들에게 빚지고 있다. 우리 역사는 이들이 읽어낸 만큼의 역사다. 이 책은 바로 그렇게 책을 읽으면서 더 나은 세상을 상상했던 청년들의 이야기를 탄탄하고 명징한 문장으로 치밀하게 담아냈다... < 더보기 >
 
 

[출처: 교보문고]

Add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