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Contents

검색
오는 3/19(목) 학술DB 이용교육 마지막 프리뷰 시간입니다. 특허라는 것은 독점 허가를 받은 공개된 기술입니다.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독창성이 담보되어야 합니다. 이런 특허는 논문생산량과 더불어 한 국가의 과학기술경쟁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기도 합니다. 특허 선행조사를 통해서 연구기술의 특허가능성을 타진할 수도 있으며 이미 등록된 특허를 통해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WIPS 특허DB를 통해서 각국의 특허를 한곳에서 검색하고, 일본특허의 경우에는 번역기능을 통해서 편하게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링 기능을 통해서는 특정 특허기술의 시장분석이라든가 연도별 추세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교육일정 : 3.19(목) 오후 2시부터 3시 20분까지 교육장소 : 청암학술정보관 501호 [교육신청] 관련글 : 2008/10/17 - [교육 & 이벤트] - 특허 이용교육 자료 활용하세요 2007/10/10 - [Database] - 특허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합니다. 2008/07/31 - [Database] - WIPS 특허DB 검색엔진 업그래이드 안내
2009-03-18 22:54
Comment 0
생명과학 분야의 선두 저널 Cell이 YouTube에도 Video 서비스를 위한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작년 11월에 처음 시작해서 현재까지 총 16편의 동영상이 올라왔습니다. 과학에 흥미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재미있는 영상들이 올라오게 될 것 같습니다. 저널에 그 중 똑똑한 침팬지가 눈길을 끄는 군요!!! 여러 개의 숫자가 화면에 일시적으로 보여졌다 지워지고, 그 순서를 기억해서 차례로 짚어내는 게임입니다. 저도 닌텐도의 두뇌트레이닝 중 유사한 게임을 통해 종종 해봤는데 7개 이상은 무리더라구요;;; 그런데 엄청난 속도로 귀여운 침팬지 군이 해내고 있습니다. 한 손으로는 스크린을 터치하고, 다른 손으로는 간식을 빼내 먹는 저 손놀림...침팬지 군 아무래도, 게임 중독입니다. :)  우리 도서관에서는 전자저널을 통해 1995년부터 CELL지를 원문구독하고 있습니다. Full-Text를 이용하시려면, 도서관 홈페이지> 전자자료> 전자저널> CELL 또는 데이터베이스> Science Direct를 통해 접속하시면 됩니다. ▒ CELL PRESS 동영상 전체 보기 ▒ Wild capuchins use stone tools A satiated worm Neuronal symmetry breaking Fighting fruit fly males, part II Long-term memory in an octopus Helical polysome - the protein synthesis machine of E. coli Reproductive policing in ants Fruit fly high-speed escape Cell division in the frog embryo Fighting fruit fly males Sperm whales at rest A parasitoid wasp manipulating the brain of a cockroach The remarkable resurrection plant Xerophyta Basal cells make contact with lumen Superior chimpanzee memory Chromosome congression during cell division
2009-03-18 10:09
Comment 0
오는 3.18(수) 학술DB 이용교육의 프리뷰 시간입니다. ABI/INFORM + PQDT(DDOD) ABI/INFORM : 열심히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쓸모 있는 것을 연구하고 그것을 비즈니스 차원에서 수익모델을 만드는 것도  요즘엔 무척 중요합니다. 전세계의 비즈니스 동향과 기업체 정보를 찾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New York Times의 과거와 현재의 기사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스... 꽉 잡으세요~ PQDT(DDOD) : 북미와 유럽 대학의 석박사 학위논문을 살펴볼 수 있는 서지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최근에는 CCL(Creative Commons Licence)을 적용해서 무료로 볼 수 있는 자료도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DDOD(Digital Dissertations On Demand)서비스는 'The US News & World Report'와 'The Gourman Report' 등의 권위 있는 대학 평가기관에서 인정하고 있는 각 학문 분야별 'Top Ranking School'에서 수여받은 박사학위논문을 선별하여 9만7천여건의 원문(full-text)을 제공하고 있는 리소스입니다. 교육일정 : 3.18(수) 오후 2시부터 3시 20분까지 교육장소 : 청암학술정보관 503호 [교육신청] Safari Books(E-book) 컴퓨터 분야의 책들은 최근 것들이 중요하고 이용 반감기도 짧은게 특성입니다. 또한, 소스코드를 활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자책 사용이 유용하죠. 동시에 여러명이 사용할 수 있는 점과 함께 자료의 손상이 없다는 점에서 장점이기도 합니다. 컴퓨터 IT분야 이외에도 비즈니스 분야의 전자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육일정 : 3.18(수) 오후 3시30분 부터 4시까지 교육장소 : 청암학술정보관 503호 [교육신청] 비즈니스 정보와 이공계 실무가 결합된 당신은 수퍼공대생 ?
2009-03-18 00:37
Comment 0
오는 3/17(화) 진행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프리뷰 시간입니다. SCOPUS는 Web of Science에 견줄만한 데이터베이스로 전주제 분야의 다양한 논문들의 피인용현황과 초록을 검색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근래에는 영국 THES의 세계대학순위나 OECD의 국가간 연구성과 비교에 SCOPUS를 소스로 사용하기로 한 것은 그만큼 SCOPUS가 DB시장에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B 개발시에 다양한 연구자들과 사서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인터페이스가 유저 프렌들리하게 만들어졌으며 최근 웹2.0의 기술적 요소들이 추가되어 정보의 유통도 전보다 용이해졌습니다. 교육일정 : 3.17(화) 오후 2시부터 2시 50분까지 교육장소 : 청암학술정보관 503호 [교육신청] ScienceDirect는 Scopus 제공사인 Elsevier 출판사의 전자저널 포털 사이트입니다. Cell지를 포함한 2,000여종을 포스텍 도서관에서는 ScienceDirect Platform을 사용해서 구독하고 있습니다. 이번 교육을 통해서 관심 저널의 모니터링과 논문 검색의 두마리 토끼를 잡기 바랍니다. 교육일정 : 3.17(화)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교육장소 : 청암학술정보관 503호 [교육신청]
2009-03-16 20:51
Comment 0
일주일간 진행된 DOEIC 테스트에 참여해주신 모든 신입생들에게 감사드립니다. 가급적 쉽게 냈다고 생각했는데 Part II와 Part III에서 많이 힘들게했던 것같습니다. Part I의 정답은 3번 무이자 대출이었습니다. 도서관이 금융권은 아니죠. Par II의 정답은 2번과 5번입니다. 1번을 선택해주신 분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자제해달라는 말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는냐에 따라 다소 이견이 있겠지만 2번의 생수는 마실 수 있다와 5번의 개인사물을 장기간 방치하지 말라는 확실한 답들이 있었기 때문에 1번은 틀린 것으로 처리했습니다. Part III의 정답은 학번과 이용자 성적 평점입니다. 이용자 평점은 도서관 자료에 평점을 매기는 기능입니다. 이용자 성적과는 무관하죠. 함정이었는데 몇분이 빠지셨네요. 죄송... Part IV의 정답은 펭귄입니다. 논란의 여지가 없도록 문제를 냈어야 했는데 틀리신 분들에게는 죄송하네요. 헷갈려서 다시 반복해서 도서관 이용수칙을 들으신 분들은 모두 자연스럽게 도서관예절을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리라 생각해봅니다. 다음에 진행되는 퀴즈이벤트에는 더욱 신중을 기해서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를 통해서 도서관을 익힐 수 있는 New DOEIC으로 찾아가겠습니다. 총 참여자 47분중에서 만점자가 18명이었고 차점자가 7명이었습니다. 4점 만점에 전체 성적 평균은 3.3점이었습니다. 행운의 주인공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첨자들은 이번주까지 근무시간인 오후 6시까지 도서관 204호에서 선물 수령해가시기 바랍니다. 축하합니다. !!! [#M_당첨자 명단 (클릭)|less..| 1등 : 닌텐도 DS + 안력 트레이닝 - 20090234 2등 : USB 4GB - 20090748 - 20090779 3등 : 도서관 명품(?) 파일 가방 - 20090874 - 20090698 - 20091032 - 20090927 - 20090912 - 20090702 - 20090277 - 20090251 - 20090814 - 20090845 - 20090059 - 20090288 - 20090289 - 20090316 - 20090246 - 20090131 - 20090923 - 20090286 - 20090775 - 20090191 _M#] 선물을 못타신 분들은 다음 이벤트를 기대해 주세요. 잘 몰랐던 것들은 도서관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통해서 자습해나가시기 바랍니다. 이번주 진행하는 학술데이터베이스 교육에도 많은 참석바랍니다.
2009-03-16 17:16
Comment 0
예멘에서 폭발로 한국인의 안타까운 사망 소식이 들려오면서, 한편으로 해외여행 시 '여행경보' 단계에 대해 관심을 보여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외교통상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http://www.0404.go.kr)에서는 각 국별 정정/치안상태, 테러위험의 정보를 토대로 여행경보 단계를 업데이트 하고 있으며, 4가지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1단계: 여행유의(신변안전 유의) 2단계: 여행자제(신변안전 특별유의/ 여행필요성 신중 검토) 3단계: 여행제한(가급적 여행삼가/ 긴급 용무가 아닌한 귀국) 4단계: 여행금지(방문금지/ 즉시대피 또는 철수) 한 국가가 지역별로 단계를 달리 하는 경우도 많으니, 여행 전에 반드시 살펴보고 가세요. 내란, 테러, 총기사고 뿐 아니라 자연재해, 교통안전, 복장/관습/치안법령, 의료체계 등의 유의사항과 현지의 긴급연락처 및 공관 안내도 상세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시로 업데이트하고 있으나, 최종업데이트 일과 국가별 공지사항도 참고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외교통상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안전한 해외여행 > 여행경보 단계 > 여행경보 단계란? 안전한 해외여행 > 여행경보 단계 > 여행경보 단계 현황 안전한 해외여행 > 국가별 안전정보 한편, 2009년 3월 16일 현재 여행금지 국가로는 소말리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  3개 국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난 주말에 한 TV 퀴즈 프로그램에서 문제로 출제되기도 했으니, 상식으로 알아두세요. '그런 곳엔 여행 갈 일이 없으니까..' 라고 하기엔 '아니, 저긴 왜...'라고 생각하게 할 만큼 우리 대학생들이 방학을 이용해 많이 찾게 되는 국가들도 더러 눈에 띄는군요. 안전 여행 하세요!
2009-03-16 10:48
Comment 0
하버드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컴퓨터학개론 강좌를 들어보시죠. 전공 초보자와 일반인들에게도 도움이 될 좋은 동영상 강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강좌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슬라이드, 강의노트 및 소스코드 또한 제공되고 있습니다. David Malan 강사가 진행하는 수업에 함께 빠져보시죠. David Malan은 하버드대에서 학사/석사/박사를 마쳤고, 사이버보안과 컴퓨터 법과학(computer forensics)을 연구했다고 하네요. 또한, 2개의 벤처기업도 만들 정도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 개론 강좌를 포함해서 다음과 같은 강좌도 공개하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많은 활용바랍니다. Computer Science 50: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I Harvard College Introduction to the intellectual enterprises of computer sciences. Algorithms: design, implementation, analysis. Software development: abstraction, encapsulations, data structures, debugging, testing. Architecture of computers: low-level data representation, instructions processing. Computer Systems: programming languages, compilers, operating systems, databases. Computers in the real world: networks, websites, security, forensics, cryptography. This course teaches students how to think more carefully and how to solve problems more effectively. Problem sets involve extensive programming in C as well as PHP and JavaScript. Podcast available at cs50.tv. Computer Science E-1: Understand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Harvard Extension School This course is all about understanding: understanding what's going on inside your computer when you flip on the switch, why tech support has you constantly rebooting your computer, how everything you do on the Internet can be watched by others, and how your computer can become infected with a worm just by turning it on. In this course we demystify computers and the Internet, along with their jargon, so that students understand not only what they can do with each but also how it all works and why. Students leave this course armed with a new vocabulary and equipped for further exploration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Topics include hardware, software, the Internet, multimedia, security, website development, programming, and dotcoms. This course is designed both for those with little, if any, computer experience and for those who use a computer every day. Podcast available at computerscience1.tv. Computer Science E-259: XML with Java Harvard Extension School This course introduces XML as a key enabling technology in Java-based applications. Students learn the fundamentals of XML and its derivatives, including DTD, SVG, XML Schema, XPath, XQuery, XSL-FO, and XSLT. Students also gain experience with programmatic interfaces to XML like SAX and DOM, standard APIs like JAXP and TrAX, and industry-standard software like Ant, Tomcat, Xerces, and Xalan. The course acquaints students with J2EE, including JavaServer Pages (JSP) and Java Servlet, and also explores HTTP, SOAP, web services, and WSDL. The course's projects focus on the implementation and deployment of these technologies. Podcast available at computerscience259.tv. Computer Science E-75: Building Dynamic Websites Harvard Extension School Today's websites are increasingly dynamic. Pages are no longer static HTML files but instead generated by scripts and database calls. User interfaces are more seamless, with technologies like Ajax replacing traditional page reloads. This course teaches students how to build dynamic websites with Ajax and with Linux, Apache, MySQL, and PHP (LAMP), one of today's most popular frameworks. Students learn how to set up domain names with DNS, how to structure pages with XHTML and CSS, how to program in JavaScript and PHP, how to configure Apache and MySQL, how to design and query databases with SQL, and how to use Ajax with both XML and JSON. The course discusses issues of security, scalability, and cross-browser support. Podcast available at cs75.tv.  
2009-03-14 23:13
Comment 2
오는 3월16일(월) 실시하는 교육의 프리뷰시간입니다. Web of Science 한 나라의 과학 수준을 평가할 때 SCI급 저널에 얼마나 많이 논문을 투고했는지가 중요한 잣대 중의 하나가 됩니다. SCI급이라 함은 야구에 비유하면 메이저리그에 해당하는 상당한 수준을 말합니다. SCI는 Science Citation Index의 약자로 논문의 서지사항과 인용현황을 모아놓은 색인 DB를 말합니다. 이 색인은 SCI CD버전이 있고, 웹버전이 있습니다. 웹버전을 보통 Web of Scicence 또는 SCI Expanded라고 합니다. 월요일 교육할 DB가 Web of Knoledge라는 플래폼에 속해있는 Web of Science입니다. 이 DB를 통해서 메이저리그급 우수 저널들을 살펴보고 인용현황을 통해서 학문의 트렌드와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JCR(Journal Citation Reports) 논문을 투고할 때 어떤 기준으로 저널을 선택하시나요 ? 다양한 저널의 바다에서 방황하시렵니까. 주제별로 저널의 영향력을 평가해 순위를 매겨놓은 좋은 리소스가 있습니다. JCR을 이용해서 주제별 저널의 주가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번에 업그래이드가 많이 되었다고 하니 꼭 참석하셔서 좋은 정보 얻어가시기 바랍니다. 교육일정 : 3.16(월) 오후 2시부터 3시 20분까지 교육장소 : 청암학술정보관 501호 [교육신청] Endnote X2 논문이나 보고서를 쓸때 여러분은 책이나 저널 또는 인터넷의 자료를 참고해서 글을 쓸겁니다. 그리고, 제일 끝에 참고한 문헌들을 나열하게 되죠. 저널에 투고할 때 이런 걸 하나라도 빼먹으면 요즘은 거의 남의 저작을 표절한 범법자 취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만큼 연구윤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런 표절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참고문헌 관리툴이 Endnote입니다. 논문을 즐겨찾기를 하고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툴입니다. 개인이 구매하려면 환율도 올라서 25만원은 넘게 주고 사야 하지만 포스텍 구성원에게는 무료로 배포합니다. 교육일정 : 3.16(월) 오후 3시반 부터 5시까지 교육장소 : 청암학술정보관 501호 [교육신청]
2009-03-13 18:06
Comment 0
이메일만큼이나 일상적이고 정보교환의 주요한 매체가 없죠. 요즘이야 보다 실시간적인 채팅이나 문자 등의 활용이 늘고 있고, 스팸없는 RSS라는 것도 새롭게 등장해서 더욱 다양한 의사소통의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만 아직까지 이메일 만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없죠. 구글에서 제공하는 Gmail을 몇년 전부터 쓰기 시작했는데 계속 추가되는 다양한 기능 때문에 감히 다른 메일의 사용을 저어하게 만들어버렸습니다. 학교 메일은 그저 백업용이고 컨텐츠들은 Gmail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활용하게 되죠. Gmail의 좋은 기능들을 몇가지 살펴보겠습니다. 1. 대용량 저장공간 제공(7GB+) 2. 폴더를 넘어선 라벨 기능 3. 다양한 테마 스킨 적용 4. 복수개의 첨부화일 동시 업로드 5. 채팅 기능(Gtalk) 6. RSS 기능 (웹클립) 7. 게임 기능 8. 가젯 추가 기능(포스텍 도서관 목록) 9. 강력한 검색 기능 10. 복수 발신자 주소 선택 기능 11. 첨부문서 화일 미리보기 (doc, xls, ppt, pdf) 12. 복수개의 계정 생성 가능 13. 구글의 다른 서비스와 연계 14. Firefox에서는 부가기능 Xoopit나 Better Gmail2, CustomizeGoogle과 같이 사용하면 금상첨화 What else ?  정말  知 知 知~ 관련글 : 2008/11/21 - [서비스] - Gmail에 도서관목록검색 가젯 추가하기
2009-03-12 16:57
Comment 1
신입생들에게는 학교의 모든 것들이 낯설고 익숙하지 못합니다. 도서관에서 책이라도 하나 찾을라면 어휴~ 어디서 부터 찾아야할지 도통 정신없으시죠.  3월에는 도서관 기본교육을 받지 못한 신입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별도로 준비중에 있습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그래서, 우선 도서관에서 도서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만들어 소개합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같이 찾아보시죠. 1. 찾는 책을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검색한다. (예제, "21세기 성장엔진을 찾아라.") 2. 상세정보에서 위치(층)와 청구기호(call number)를 메모한다. 청구기호가 뭥미 ? 3. 해당 층 엘리베이터 앞에 있는 층별 안내도에서 청구기호에 해당하는 서가번호와 위치를 확인한다. [##_2C|49b7a876da2c5DY.jpg|width="300" height="225"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49b7a8724222dD8.jpg|width="300" height="225"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_##] 4. 해당 서가에 가서 도서를 찾는다. (자료가 없으면, 서가 옆 사이드선반도 반드시 확인한다.) 네모난 도서를 찾아떠나는 모험 : Finding Nemo [##_Movie|Dcx9nKeiTYE$|http://cfs3.flvs.daum.net/files/33/20/7/40/18406449/thumb.jpg_##] 여러분의 네모는 찾으셨나요 ? 관련글 : 2007/11/13 - [도서관] - [게임] 도서관 자료 정배열하기
2009-03-12 09:10
Comment 0

Pages

Subscribe to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