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Contents

검색
오랜만에 영어공부를 하려고 하니 매체가 시대를 못따라오네요. 라디오토익인 토익킹은 부록이 녹음테잎으로 되어 있어서 간만에 집안 구석에 애물단지같았던 카세트 플레이어를 다시 꺼내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디 MP3로 된 것이 없을까 수소문한 끝에 두산동아 출판사 사이트에서 EBS 라디오 교재들의 MP3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이것들을 합법 다운로드 받아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다운로드는 회원가입을 해야 하네요. 참고로 라디오토익 3월호 부터는 네모난 부록 테잎이 둥근 CD로 바뀐다고 하니 좀 더 공부하기가 수월해지겠습니다. 가능하면 과월호 방송분도 같이 제공하면 좋을텐데 아쉽네요. 매주 일요일날 일주일치를 방송하니 이걸 녹음해야겠군요. 지난번에 제공한 답안지 양식과 MP3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어학교양지는 2층 신문서가 옆에 있으니까 잘 찾아서 활용하시구요. 딸려오는 CD나 테잎은 2층 데스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 2009/02/12 - [서비스] - 토익(TOEIC) 답안지 활용하세요. 2009/01/15 - [정보] - 참여하는 웹2.0시대의 어학공부
2009-02-25 00:21
Comment 1
웹2.0의 시대를 통해서 준전문가들이 어느정도 자신들의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전문가들도 웹2.0의 기술과 문화를 통해서 더 강력해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의학분야의 위키피디아인 메드피디아는 의사와 생의학분야의 박사들이 컨텐츠를 만들어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 베타로 사이트를 오픈했습니다. 의학정보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 일반인들이 만들어가는 위키는 신뢰성과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컨텐츠를 편집하고 일반인들이 내용을 열람하고 문제점을 제기하는 형식의 메드피디아는 보다 신뢰감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더욱이 외국의 유수한 의대와의 연계는 더욱 신뢰감을 줍니다. 건강정보와 의학정보 및 신체 관련 정보들이 계속 쌓여가고 있습니다. 이 위키백과사전을 통해서 건강한 정보, 건강한 신체를 만들어 가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 2009/01/12 - [정보] - 업그래이드된 백과사전, 비주얼위키피디아 2008/05/19 - [정보] - 과학자가 쓰는 위키사이트 SCIRUS topic pages
2009-02-23 11:31
Comment 0
해외 대학들의 무료 공개강좌가 부러웠는데 국내에서도 차츰 이런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네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는 국내외 이러닝 강의자료를 KOCW(Korea Open Course Ware)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료량은 아직 많지 않지만 벌써 40여개의 대학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대학은 경희대, 고려대, 전북대 등이 있네요. KERIS에서는 교수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최근 공지에 의하면 우수 강의 동영상 촬영을 지원해준다고 합니다. 관심있는 교수님들은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M_KERIS 공지|less..| 우수 강의 동영상 촬영 지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는 대학의 우수한 강의를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유함으로써 강의의 탁월성을 널리 알리고 학습자에게 보다 폭넓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출연기구로 교육정보화를 통한 공교육 강화, 고등교육 및 학술연구정보화를 통한 국가 연구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제공하고 있는 주요 서비스로는 국내외 연구성과물을 한 곳에서 서비스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http://www.riss4u.net)국내외 이러닝 강의자료를 제공하는 고등교육교수학습자료서비스(KOCW, http://www.kocw.net)와 초중고등학교 교육을 지원하는 에듀넷(Edunet, http://www.edunet.net))이 있습니다. 동영상 강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 http://www.kocw.net) 사이트를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학습자들은 개별적으로, 혹은 관심 분야 주제를 함께 학습하고자 하는 동료들과의 협업을 통하여 해당 강의 및 관련 내용에 대하여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에 IPTV를 통해서도 해당 강의 서비스가 제공될 것입니다. 보다 다양한 학습자들에게 고등 교육 수학의 기회를 제공하여 평등한 배움의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이번 프로젝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우수 공동 활용 강의에 대해서는 향후 포상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인센티브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 신청 자격 : 대학/전문대학 시간강사 이상 ◉ 강의 개설 : 2009년 1/2학기 ◉ 신청 기간 : 2009년 2월 2일(월) ~ 2월 13일(금) 18:00까지 ◉ 신청 방법 : 신청서를 다운로드받아 작성한 후 강의계획서와 함께 이메일 혹은 팩스로 신청 - 이메일 : kocw@keris.or.kr - 팩스 : 02-2278-4342 ◉ 문의 : 이수지(02-2118-1404, soojlee@keris.or.kr ◉ 선정 결과 : 2월 17일(화) 개별적으로 이메일 및 유선으로 통보해드립니다. ※ [신청서 다운로드] - 강의 촬영 및 기타 세부 사항에 대한 논의는 2월 19일(목) 14:0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3층 회의실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 신청인이 많을 경우 선착순으로 지원해드립니다. 출처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_M#] 몇개의 강좌를 들어봤습니다. 공개강좌이다보니 사적인 얘기를 하기가 쉽지 않죠. 어떤 교수님은 서두에 양해를 구하고 계시네요. 다음과 같이... 유래없이 제일 재미없는 강좌를 듣게 될겁니다. ㅎㅎㅎ
2009-02-22 11:48
Comment 1
지난주 부터 도서관 직원들은 무척이나 분주했습니다. 늘 그렇듯이 데이터 만지는 일로 손가락들이 노역을 하고 있죠. 다름아니라 포스텍 교수님들의 연구실적을 DB화하는 작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도서관 정보서비스팀에서 교수님들의 연구실적을 DB로 관리하는 업무를 연구팀으로 부터 이관받았습니다.과학기술분야의 논문 업적평가는 SCI급의 저널인가와 해당 저널의 Impact Factor값으로 가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Web of Science와 JCR이라는 툴을 활용합니다. JCR은 Journal Citation Reports의 약자로 SCI급 저널들의 Impact Factor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2009년 2월에 JCR의 업그래이드가 이루어졌습니다. 아래에 내용을 요약해보겠습니다.Impact Factor 강화 (5-year impact factor)Impact Factor는 지난 2년간의 피인용회수에 근거해서 값이 산정됩니다. 하지만 이번에 지난 5년간의 피인용회수에 근거한 항목이 새로이 추가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저널의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생명과학분야는 논문 발표후에 빠르게 인용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수학이나 경제학 분야는 느리고 완만하게 인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야별 인용특성을 고려한 5년치의 IF 추가는 전보다 공정한 잣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저널 카테고리별 순위표 (Rank in category table)다학제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는 현실을 반영해서 인지 여러가지 주제를 담고있는 저널의 경우에는 각각 주제 카테고리별로 순위를 보실 수 있습니다.상자도표 (Box Plots)카테고리별 순위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box plots를 도입했습니다. 주제별로 각 저널들의 IF를 기준으로 주제별 저널 전체 분포속에서 해당 저널이 어느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자기인용율(self-citation rate)저널별로 자기인용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기인용이란 본인의 과거  논문을 자신의 논문에 인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피인용이라는 것은 남들이 얼마나 인용했는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엄밀히는 자신이 인용한 자기인용은 공제해야 정확한 IF를 나타낼 수 있겠죠. 자기인용을 제외한 Impact Factor값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EigenFactor (TM)와 ArticleInfluence(TM) 도입EigenFactor은 비영리 학술 프로젝트로 워싱턴대의 생물학과에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슬라이드 참고하세요. 제가 개념이 잡히면 다시 포스팅하겠습니다.다양한 지표의 추가를 통해서 그동안 학분분야별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었습니다. 학문이 복잡해지고 다원화되어 갈수록 이런 평가지표도 함께 발전해야 할 것입니다.
2009-02-19 11:46
Comment 1
함께 읽는 도서관 자료에 메모나 낙서를 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특히, 교재/문제풀이집에 답을 표시하는 분들도 있어 오래 함께 봐야할 자료가 일회용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토익관련 책들이 대표적인 피해자(?)들입니다. 그리하여 토익책 구출작전의 일환으로 야심차게(!) 준비한 "Answer Sheet"를 공개합니다. 시험을 앞두고 계신 분들은 PDF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모의고사에 활용하세요 ^^ 2층 정보서비스 데스크 앞에 용지를 앞뒤로 인쇄해 두었습니다. 도서관에서 공부하실 때 사용하세요.
2009-02-15 10:50
Comment 3
데이터베이스에는 검색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자주 등장하는 관사나 전치나 등의 단어는 검색대상에서 제외를 시킵니다. 이런 단어들을 불용어(stop word)라고 하죠.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에 따라 자신들만의 불용어가 따로 있습니다. 최근 교수님들의 연구실적을 조사하는 중에 Web of Science의 불용어들을 살펴보았습니다. 관사 및 전치사 등의 기본 불용어외에는 award, birthday, department, discussion, honor, items, study, you 등의 단어도 불용어에 포함되어 있더라구요. 그래서 Web of Science에서는 You(당신)를 찾을 수 없습니다. ㅎㅎ 이런 단어들은 시스템에서 무시되는 무시어이니 Web of Science를 검색할 때는 굳이 이런 용어는 넣을 필요가 없겠죠. Web of Science의 불용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M_Web of Science Stopwords|less..| A ABOUT ABOVE ACCORDING ACROSS ACTUAL ADDED AFTER AGAINST AHEAD ALL ALMOST ALONE ALONG ALSO AMONG AMONGST AN AND AND-OR AND/OR ANON ANOTHER ANY ARE ARISING AROUND AS AT AWARD AWAY BE BECAUSE BECOME BECOMES BEEN BEFORE BEHIND BEING BELOW BEST BETTER BETWEEN BEYOND BIRTHDAY BOTH BUT BY CAN CERTAIN COME COMES COMING COMPLETELY CONCERNING CONSIDER CONSIDERED CONSIDERING CONSISTING DE DEPARTMENT DER DESPITE DISCUSSION DO DOES DOESNT DOING DOWN DR DU DUE DURING EACH EITHER ESPECIALLY ET FEW FOR FORWARD FROM FURTHER GET GIVE GIVEN GIVING HAS HAVE HAVING HIS HONOR HOW IN INSIDE INSTEAD INTO IS IT ITEMS ITS JUST LET LETS LITTLE LOOK LOOKS MADE MAKE MAKES MAKING MANY MEET MEETS MORE MOST MUCH MUST MY NEAR NEARLY NEXT NOT NOW OF OFF ON ONLY ONTO OR OTHER OUR OUT OUTSIDE OVER OVERALL PER POSSIBLY PT PUT REALLY REGARDING REPRINTED SAME SEEN SEVERAL SHOULD SHOWN SINCE SO-CALLED SOME SPP STUDIES STUDY SUCH TAKE TAKEN TAKES TAKING THAN THAT THE THEIR THEM THEN THERE THEREFROM THESE THEY THIS THOSE THROUGH THROUGHOUT TO TOGETHER TOWARD TOWARDS UNDER UNDERGOING UP UPON UPWARD VARIOUS VERSUS VERY VIA VOL VOLS VS WAS WAY WAYS WE WERE WHAT WHATS WHEN WHERE WHICH WHILE WHITHER WHO WHOM WHOS WHOSE WHY WITH WITHIN WITHOUT YET YOU YOUR 출처 : http://cm.isiknowledge.com/support/help/ht_stopwd.html_M#] 그러면 Vitamin A가 제목에 들어가는 아티클은 어떻게 찾을까요 ???
2009-02-11 13:19
Comment 1
어릴적 부모님들은 잠자리에서 동화책을 읽어주죠. 그럼 아이들은 행복하게 꿈나라로 가곤합니다. 나이가 들어서는 누군가 자신을 위해 책을 읽어주는 일은 드물죠. 보통의 독서란 책과 눈과의 수직적 자세를 유지해야하는 물리적 귀차니즘이 존재합니다. 또한, 도서관에서는 활자를 소리내어 읽을 수 없는 삼룡이 신세가 되기도 합니다. 즐거운 귀차니즘이기도 한 이런 독서에서 해방될 수 있게 만들어준 것이 바로 오디오북입니다. 시각장애인이나 출퇴근으로 시간을 소비하는 사람들에게는 더할 나위없는 좋은 친구죠. 독서(讀書)가 싫다면 청서(聽書)하세요. 단순반복적인 일을 할 때 처럼 지루한 순간은 없죠. 그럴 때는 보통 라디오를 틀거나 음악을 듣죠. 하지만 자신에게 도움과 재미가 되는 책을 오디오북으로 듣는 것은 일에 능률을 높일 수가 있습니다. 작년 11월부터 포항시립도서관에서는 오디오북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200여권의 다양한 오디오북을 다운로드하거나 PC에서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대출하면 일정기간 mp3 플레이어를 통해서 휴대하면서 들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 다운로드 기능은 활성화된 것같지는 않습니다. 포항 소재의 학생과 직장인은 무료로 가입하실 수가 있으니 관심있는 분들은 가까운 공공도서관을 찾아가보시기 바랍니다. 성우가 만들어낸 오디오북은 아니지만 여러분도 오디오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자신이 직접 책을 하나 정해서 매일 조금씩 컴퓨터에 마이크로 녹음을 하는 겁니다. 아니면 친구들과 챕터를 나눠서 서로 녹음한 뒤에 합치는 방법도 있죠. 이렇게 만든 오디오북을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이나 노안의 어르신에게 선물하는 것은 어떨까요. 물론 저작권이 없는 도서와 대가없는 개인 사용 목적에 한해서라는 단서를 붙이구요. 관련글 2007/08/02 - [도서관] - [탐방] 포항시청내 도서정보센터 2007/05/08 - [정보] - 포은 도서관 개관 - 포항시 2007/02/09 - [도서관] - [소개] 포항시립도서관 : 무료 전자책, 동영상 강좌 제공
2009-02-10 08:58
Comment 0
CAS출판사에서 공지한대로 2009년 1월 30일자로 SciFinder Scholar 2006 version이 사용중지됩니다. 아직 업그레이드하지 않은 분들은 최신 2007 version으로 업그레이드하세요. (SciFinder는 포스텍 도서관 구독 유료 DB입니다.)
2009-02-04 11:10
Comment 0
일찍 온 구정 명절 덕분에 1월이 분주하게 지나갔습니다.  이젠 슬슬 겨울잠에서 깨어나서 3월을 준비하는 2월이 돌아왔습니다. 2월의 달력을 보니 7 X 4 로 가지런하게 정돈이 되어 있네요. 내일 모레면 벌써 입춘이구요. 도서관은 새롭게 업무분장을 준비중입니다. 작년에 팀명칭도 학술정보팀에서 정보서비스팀으로 바뀌었죠.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해야할 부담이 올해엔 백배네요. 이번 바탕화면은 Flickr의 aussiegall님 사진을 이용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하트모양의 분홍색이 예쁘네요. 지난 1월에 도서관 블로그에 포스팅된 글들을 아래 모아봅니다. 그럼, 2월에 모두들 좋은 계획세우셔서 알찬 개학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1월 포스팅 목록 특허교육 이젠 무료 e-learning 시대 (1) | 2009/01/30 교육과학기술부 블로그 방문기 | 2009/01/29 도서관 홈피 일부 서비스 장애 발생 및 대처요령(복구완료) | 2009/01/29 [나만의키워드] 커피(Coffee) 혹은 카페(Cafe) | 2009/01/28 서울대 도서관, S-Space 오픈 (2) | 2009/01/22 역대 미국 대통령 취임사 및 동영상 모음 | 2009/01/21 다음지도에서 찾아본 청암학술정보관 (9) | 2009/01/19 1월은 자동차세 10% 세이브 시즌 (2) | 2009/01/16 참여하는 웹2.0시대의 어학공부 (2) | 2009/01/15 업그래이드된 백과사전, 비주얼위키피디아 | 2009/01/12 강의노트 공유하고 돈도 벌자! | 2009/01/09 독서광을 위한 사이트 50선 (4) | 2009/01/08 귀차니즘을 없애는 21가지 방법 | 2009/01/07 포스텍 도서관 블로그 2008년 연말정산 보고서 (4) | 2009/01/05 [1월 달력] Seize the day | 2009/01/02
2009-02-02 11:43
Comment 0
특허청 뉴스에 따르면, 오늘 특허 종합교육 포털사이트인 “국가지식재산교육포털 ”을 개통한다고 합니다. 오전 현재 접속상태는 다소 불안하네요. 이 포털을 통해서 누구나 무료로 발명의 단계에서 부터 분쟁 해결까지 모든 과정을 온라인으로 맞춤형 교육을 제공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교육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특히 대학, 연구소, 중소기업은 해당 기관을 위한 개별 페이지를 신청하면 무료로 구성해준다고 합니다. 교육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교육운영 과정(36개) 대분류 중분류 운영 콘텐츠 비고 지식재산권 제도 및 법 과정 (7) 지식재산권 제도 ○ 지식재산권 기초 기초 ○ 직무발명제도 기초 관련법 ○ 특허법 기초 ○ 상표법 기초 ○ 디자인보호법 기초 ○ 2007개정특허법해설과정 기초 ○ 사례로 알아보는 저작권의 이해 기초 특허정보  검색 및 분석 과정 (6) 특허정보  검색 및 분석 ○ 특허정보활용-특허정보의 가치 기초 ○ 특허정보활용-특허정보의 활용 기초 ○ 특허정보활용-특허정보의 검색 기초 ○ 특허정보 분석 및 특허지도 작성 심화 ○ 사례로 본 분쟁대비특허맵-차세대이동통신 심화 ○ 사례로 본 분쟁대비특허맵-개량신약기술 심화 특허출원 및 명세서 작성 과정 (15) 출원서 (명세서) 작성 ○ 실전! 특허명세서작성 기초 ○ 실전! 의견서․보정서 작성 기초 ○ 특허명세서 작성(1)-작성기본요령 기초 ○ 특허명세서 작성(2)-보정과 침해대응 기초 ○ 특허명세서 작성(3)-전자기계S/W기술 기초 ○ 특허명세서 작성_화학분야 심화 ○ 특허명세서 작성_생명공학분야 심화 ○ 특허명세서 작성_BM특허분야 심화 ○ 영문명세서 작성실무 심화 특허출원 ○ 실전! 전자출원 따라하기 기초 ○ 전자출원실습_전자출원일반편 기초 ○ 전자출원실습_PCT국제출원편 심화 ○ 전자출원실습_마드리드국제상표출원편 심화 ○ 미국특허출원 Ⅰ-절차편 심화 ○ 미국특허출원 Ⅱ-등록요건편 심화 특허분쟁 과정(5) 특허소송  및 분쟁 ○ 성공적인 특허풀 결성 및 운영관리 기초 ○ (현장특강) 특허권 침해금지 가처분 소송실무 심화 ○ 특허침해판단과 청구범위해석 심화 ○ 판례로 본 특허침해소송 심화 ○ 국제특허분쟁시 협상 및 라이센스 전략 심화 특허관리 및 활용과정(3) 특허활용 전략 ○ (현장특강) 표준특허전략 기초 ○ 성공하는 기업의 Brand & Design 전략 기초 ○ 디자인 IP 보호전략 기초 기타(1) ○ 특허법률영어 기초 이벤트도 진행중이군요. 행운이 함께하시길~
2009-01-30 11:41
Comment 0

Pages

Subscribe to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