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Contents

검색
지난 여름 당신은 무슨 책을 읽었던가요 ? 기억력 좋은 분들이나 독서일기를 쓰시는 분들은 쉽게 기억을 해낼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이용자는 간혹 무슨 책을 전에 대출했는지 도서관에 물어오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해 작은 활용팁을 알려드립니다.우리 도서관 시스템에는 대출 히스토리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나만의 도서관에 로그인 후에  대출 히스토리 버튼을  누르면  자신이  대출했던 자료와  현재 대출중인 자료가  모두 나옵니다.  다만 옵트인(opt-in) 방식이기 때문에  옵션켜기 버튼을  클릭해야지 그때부터 대출 기록이 남게됩니다. 혹시 이전의 대출기록을 확인하고 싶다면 자신의 메일 계정에서 지난 반납예정통보서를 확인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_Gallery|cl172.jpg|1단계 : 로그인|dl181.jpg|2단계 : 대출 히스토리 클릭|dl180.jpg|3단계 : 옵션 켜기 클릭|width="400" height="300"_##]독서는 좋은 글쓰기를 위해서도 필요한 과정중의 하나입니다. 글쓰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많이 읽고(多讀), 많이 쓰고(多作), 많이 생각해야(多商量)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독서습관이 중요하고 어떤 류의 도서를 자신이 읽고 있는지 검토해보아야 합니다.<글쓰기의 전략>이라는 책에서 일부를 소개합니다. 나의 독서 경험을 검토해보자.책은 위대한 천재가 인류에 남겨준 유산이며 선물이라고 에디슨이 말했다. 책을 읽지 않으면 사물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도, 성찰도 불가능하다. 지금까지 내가 읽은 책의 목록을 만들어보자. 문학으로는 어떤 작품이 있는가 ? 사회 사상서로는 무엇이 있는가? 실용서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혹시 자신의 독서 목록에 만화책이나 판타지 소설만 가득 들어 있는 것은 아닌가? 교과서 외에는 읽은 책이 없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A4용지 한 장 분량으로 자신의 독서 생활에 대한 글을 간단히 작성해보자. 이런 방법은 자신의 독서 습관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자신의 독서 습관을 한 번 확인해 보는 기회로 대출 히스토리 기능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즐거운 여름 보내세요.
2007-07-15 09:00
Comment 0
MIT에서 구성원들이 동영상을 올리고 함께 공유할 수 있는 MIT TechTV 사이트를 베타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통해서 과학기술, 공학 및 MIT를 홍보하는 동영상을 이용자들이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MIT TechTV는 MIT 공학부와 도서관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벤쳐기업인 blip.tv가 기술지원을 하고 있습니다.다양한 MIT 구성원들의 활동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우선 MIT가 학생 유치를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와 어떤 연구를 수행하는지 또는 졸업식과 같은 학내행사와 더불어 창발력 넘치는 학생들의 UCC 동영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도서관에서 이용자들을 위해 만들어 놓은 도서관 리서치 관련 동영상은 도서관을 이용하는데 우리에게도 도움이 되는 부분이라 일부를 소개합니다. Watch the Video 아래 동영상에는 2010년 졸업할 MIT 신입생들의 일상이 들어 있습니다. 새내기에서 헌내기가 되어가는 모습이랄까요. 포스텍 학생들은 1학년때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하는데 MIT 1학년들은 어떨까요 ? MIT, 그 속으로 한 번 들어가봅시다. MIT 학생들은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대부분은 사회에 나가 훌륭한 연구자나 사회의 리더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런 사회적 인재를 기르기 위해서 MIT에서는 글쓰기 교육이나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포스텍도 마찬가지겠죠. 그런 배려와 관심이 더 스트레스가 되는지 모르겠지만 포스텍 학생분들도 어려운 순간이 있더라도 참고 견뎌내서 훌륭한 사회의 버팀목이 되어주길 바래봅니다. <출처>1. MIT TechTV
2007-07-11 09:00
Comment 0
국제 철강협회(IISI)의 철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e-learning 사이트 : "Steel University" 세계적 철강전문가들이 각자 관련 분야의 기술내용을 집필하고, 영국 Liverpool University 에서 관리, 운영한다. Steeluniversity.org 컨텐츠는 영어, 스페인어, 중국어로 제공되고 있었으나, 얼마 전(6.27)부터 한국어로 세계의 철강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Steeluniversity의 한국어 번역에 많은 대학 교수들이 참여하였으며 번역 업무의 총괄적인 조정 역할은 포항공과대학교 철강대학원의 정성모 교수가 담당하고 있다.   대학생, 대학원생들과 철강 산업 관련 재직자들을 위해, 철강을 생산하고 사용함에 근간이 되는 기초과학적, 금속학적 및 공학적 원리, 열역학과 속도론에 관한 정보원 제공. Steel Processing Steel Applications Sustainability Ferrous Metallurgy   9월 부터 POSTECH 철강대학원 과정에 Steel University에서 제공하는 자료들을 철강 생산 기술 교과목으로 채택할 예정이라 한다.     Virtual  Steeling  & Testing  누구나 가상 제철소에서 제강 엔지니어가 될 수 있다. 주요 제강 공정에 대한 현실감 높은 게임 시뮬레이션, Virtual Steel Mill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뮬레이션들.. 가상 제철소 [EN] 산소 전로 제강 [EN] 전기로 2차 정련 연속 주조 인장 시험 경도 시험 샤피 충격 인성 시험 시편과 강판 시험 고강도강의 설계와 제조 * 매년 행해지는 Steeluniversity.org Challenge에서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제강 시뮬레이션을 24시간 동안 전세계에 걸쳐 경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07-07-10 18:08
Comment 0
포스텍 화학과 정성기 교수 연구팀은 소르비톨(sorbitol)이라는 당질(糖質)을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약물 전달체 개발에 성공했다. 이 소식은 독일에서 발행하는 권위있는 화학분야 학술지 Angewandte Chemie 온라인판에 7월2일자로 게재되었습니다. 논문 정보  논문 다운로드 학술지 Angewandte Chemie 정보독일화학회에서 주간 단위로 발행하는 화학분야 학술지다. 심사를 통과한 논문만 게제되며 독일어판은 1888년 부터 발행되었으며 영어로 된 국제판은 1961년부터 발행되고 있다. 저널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impact factor는 2006년 10.232로 화학(chemistry, multidisplinary) 분야 124개의 저널중에서 4위를 차지하는 영향력 최상위의 저널이다. 독일어인 학술지명을 영어로 번역하면 Applied Chemistry(응용 화학)이지만 화학의 모든 분야를 커버하고 있다고 한다. 포스텍 도서관에서는 1998년 이전은 인쇄본으로 이후는 전자저널로 제공하고 있다. 미디어 보도1. 로켓기술로 뇌세포에 약물 쏜다 (한국경제)2. 포스텍 정성기 교수 연구팀 사립체질환 치료제 개발 기대 (매일신문) 정보/이미지 출처1. Ulrich's periodical directory2. Wikipedia3. Wiley
2007-07-09 09:40
Comment 0
해외 eBook "ebrary" 무료서비스 정보를 안내해드리겠습니다. ebrary 서비스는 NDSL 회원에게만 제공되며 별도의 인증이 필요없이 회원가입만 하면 이용가능합니다. ebrary 서비스는 NDSL 운영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해외 과학기술 전자정보의 유통 활성화를 위하여 특별 제공합니다. 이용하시려면 반드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팝업 차단 기능을 해제하셔야 합니다. 서비스 내용은 아래의 안내를 참고하십시오. [#M_안내 (클릭)|닫기 (클릭)| ○ 서비스 내용 : ebrary 출판사의 해외 ebook 서비스 - 230여개의 출판사가 출판한 33,000여권의 ebook 수록 - 최근 2년 이내의 전 학문 분야의 주요 ebook 검색,열람,복사,출력 가능 ○ 서비스 이용 대상 : NDSL 회원 (단, 사서는 이용불가. ebrary와의 협약사항) ○ 서비스 이용 기간 : 2007.4. ~ 2007.12.31 ○ 서비스 이용 방법 ① NDSL 홈페이지(www.ndsl.or.kr) 우측 하단 ebrary 배너 클릭 ② 로그인하면 ebrary 서비스 이용 가능 * NDSL 비회원은 NDSL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이용 가능 ○ 이용 문의 : KISTI 해외정보팀 - 유수현(02-3299-6102, yoosu@kisti.re.kr) - 장보성(02-3299-6125, club301@kisti.re.kr) ○ ebrary 이용불가시 조치방법 - 이용자 PC 팝업 차단 해제 -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방화벽 허용 요청 (ebrary 서버 IP 203.250.197.86 의 2048~2057 포트 inbound, outbound 허용) ○ 주의: 상호대차용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위반시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_M#]Quick Start (An overview of ebrary’s key features.)  플래쉬 동영상 (11분26초)Patron User Gu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how to use ebrary.)  (PDF)Quick Guides (Step-by-step instructions on getting started in ebrary.)  (PDF) 정보/이미지 출처1. NDSL2. ebrary
2007-07-03 16:00
Comment 0
  * 1960년 4.19 혁명 당시 사진 (출처 : HISTOPOIA) [4.19 혁명 관련 자료] KRPia 한국의 지식 콘텐츠 * KRPia Database( POSTECH Library 시범서비스 중인 DB)  한국사 / 한길사편찬위원회  [#M_"한국사 / 한길사편찬위원회" 에 관해 더보기 Click|Close|  한길사 간행 ≪한국사≫는 8년에 걸쳐 한국사 연구의 중추가 되는 173명의 전문연구자가 집필에 참여하여 만들어냈다. 사회경제사, 사상사, 생활사를 중심으로 한 집필의 방향은 이전까지의 왕조사 중심의 역사서술의 한계를 타파하는 획기적인 성과이다. 또 북한사와 근현대사 등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있던 우리 역사에 비중을 둠으로써 민족 통일 사관을 형성하는 데 큰 몫을 차지하였다. <한국사>는 식민사관을 철저히 극복하고 투철한 민족사관에 입각해 우리 5,000년 역사를 체계화시킴으로써 한국사 인식의 단계를 한 차원 끌어올린 최고의 민간차원 편찬 통사이다. 지난 50년간 한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수렴하여 고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리 역사 발전과정의 전체 모습을 올바른 사관 안에 담아내고 있다. _M#]  목차 페이지 1. 4월혁명과 과도정부 6138 참고문헌 6160 참고문헌 6331 1. 머리말 6416 1. 제1단계 : 대구의 2·28 학생데모에서 4·26 이승만 하야까지 6428 2. 제2단계 : 이승만 하야에서 7·29총선까지(운동진로를 위한 모색기) 6433 5. 맺음말 6441 참고문헌 6442 화보 6450 화보 6451 4·19당시 시민들에게 질서를 호소하는 학생들, 1960년 4월 19일 6553 4·19학생 의거, 1960년 4월 19일 6555 4·19데모대를 저지하기 위해 쳐놓은 바리케이드 6558 4·19직후 이승만 박사의 동상이 철거되고 있다.1960년 4월 6559 2. 경제(개발)주의 성립의 구체적인 현상과 그 구조 6577 2. 제5공화국의 위기 심화기 : 교착적 정치국면(1984년 중반∼86년 말) 6651 1. 국가주도 경제개발체제의 성립 6691 1. 4·19의 경제사적 의미 6692 [4.19 혁명을 배경으로 한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이문열"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87 제 11회 top.frames.leftFrame.leftList; else frmContents = top.frames.leftFrame.leftList; if (frmContents) frmContents.KrTree.AddSearchHistory("419",1,"역사", "/history", "한국사", "본문","한국사 본문 내용",false);    POSTECH Library 에서 검색하기 (Click!) [#M_작가의 말..(click)|Close|작가로서의 거부와 경계 " 나는 작가가 한 어릿광대나 장인이 되는 걸 승인하지 않는 것처럼 개혁자가 되어야 한다는 욕도 완강히 거부해 왔다. 단순한 기록자가 되는 걸 마다한 것처럼 무책임한 설계자가 되는 것 또한 경계해 마지 않았다. 틀림없이 그런 기능들은 문학, 특히 소설이란 동아줄로 꼬아 나가는 데 필요한 가닥들이긴 하지만, 나는 한 가닥이 무분별하게 비대해, 내 동아줄을 허약하고 못미더운 것으로 만들까 늘 걱정했다. 그리하여 '초월적 사인성'이란 애매한 이름으로 내 문학의 성채를 마련하고, 어떤 때는 내면의 유혹과 싸웠으며, 또 어떤 때는 외부로부터 오는 비난이나 소외에 저항해 왔다." - 이문열    *출처 : Aladin http://www.alad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0126597_M#]                                                             4월 학생 혁명 기념탑1960년 4월 19일 이 나라 젊은이들의 혈관속에 정의를 위해서는 생명을 능히 던질 수 있는 피의 전통에 용솟음 치고 있음을 역사는 증언한다. 부정과 불의에 항쟁한 수만 명 학생 대열은 의기의 힘으로 역사의 수레바퀴를 바로 세웠고 민주 제단에 피를 뿌린 一八五 위의 젊은 혼들은 거룩한 수호신이 되었다. 해마다 4월이 오면 접동새 울음 속에 그들의 피 묻은 혼의 하소연이 들릴 것이요, 해마다 四月이 오면 봄은 선구하는 진달래 처럼 민족의 꽂들은 사람들의 가슴마다에 되살아 피어나리라. * 출처 : 4http://www.lg.co.kr/h_lg/go/419/tower.html
2007-07-03 00:34
Comment 0
지난주에는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STIMA)에서 열린 학술세미나에 다녀왔습니다. 올해의 주제는 "Librarian 2.0과 전문도서관의 미래"였습니다. 부족하지만 저희 도서관의 사례를 발표하고 돌아왔습니다. STIMA는 과학기술관련 분야의 연구개발 및 교육, 회원간 정보교환 및 연구활동 추진하는 기관들의 협의체입니다. 주로 전문도서관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50여개 도서관이 활동하고 있습니다.세미나 장소는 전라남도 목포였습니다. 직선 거리로 따져보니 300km 정도 떨어져있네요. 동쪽 끝에서 서쪽 끝이죠. 일기예보가 좋지 않아 버스를 타고 갔습니다. 직행 노선이 없어서 광주까지 가는 고속버스를 타고 간 다음에 광주에서 다시 목포가는 시외버스를 타고 갔습니다. 광주까지가 4시간, 다시 목포까지는 1시간 20분이 소요되더군요. 참 긴 시간이었습니다. 하지만 광주와 목포의 터미널은 정말 깨끗하고 시설이 좋더군요. 터미널에서 느끼는 그 도시의 첫인상이 지친 여행객에게 이렇게 위로가 되네요. 그런 점에서 포항은 상당히 아쉬운 점이 많습니다.시간이 촉박해서 목포를 잘 둘러보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지만 보람있는 세미나를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다음에 갈 기회가 있다면 목포의 살아있는 세발낚지를 꼭 먹고올 생각입니다. 
2007-07-02 16:01
Comment 0
1995년 부터 12년 동안 운영되었던 CNN의 웹사이트(cnn.com)가 2007년 7월 2일 web 2.0 의 요소들을 갖추고 새로이 open 하였다.  '웹 2.0화'(web 2.0 -ize)는 이미 몇 년 전부터 세계적인 트렌드인데 CNN도 이에 발맞추어 보다 발전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User generated contents, Blogs, Recommendation과 같은 참여, 공유, 개방의 공간로 거듭났다. 기존에 CNN.com에서 live video streams, vod를 보기 위해서는 CNN Pipeline에 구독신청을 하고(fee-based service) 이용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고 있다. CNN before & after  [Before - Flat Site] Cached version of the old page ..... Click  [After - Dynamic Site] New CNN.comTell us what's new ~1. Enhanced Multimedia   팝업이 뜨는 윈도우 미디어 format 아닌, Flash format으로  메인 사이트 내 오른쪽 화면(play-in-page)에서 볼 수 있고, Live & On demand(VOD) 모두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2. I-Reports <Citizen Journalism> 이제 일반인들도 뉴스 기자가 된다.   Send, Share, See Your StoriesShow us your travel snapshotsSend us your i-phone I-ReportsWhat's happening where you are? 3. We Recommend 기능  방문자의 past browsing history에 근거하여 관련성 있는 기사 및 멀티미디어 정보원을 추천하는 기능 4. Weather  일기 예보도 personalized servic로 제공.  city name, zip code로 전세계의 forcast를 검색할 수 있고 feedback 받을 수 있다.  5. CNN Anywhere  Podcasting, PDA, Blogs, RSS, Desktop Alert, Mobile(US), email News letter 6. International & US version 7. Blogs   Join the conversation with CNN anchors, correspondents and producers all over the globe~!  CNN 뉴스 프로듀서, 앵커들과의 대화의 장에도 참여해 보세요~ CNN ez (YBM) @ POSTECH Library                                                          *(image source) http://blog.naver.com/firstlove38                                  YBM의 월간지 CNN ez를 우리 도서관에서 구독하고 있습니다. 뉴스에서 쓰이는 유용한 표현들 정리가 잘 돼있고, Speaking(따라하며 녹음하기), Writing(들으며 빈칸 채워넣기) 등 다양한 Activity를 이용하여 공부할 수 있습니다- ^-^  
2007-07-02 14:00
Comment 0
 이번 주 토요일 6월 30일 22시 49분 경, Blue moon을 볼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Blue moon 이란, 양력 1개월에 보름달(full moon)을 2번 볼 수 있을 때 두번째 full moon을 blue moon이라고 부른다고 알려져 있지요. Full moon이 되었다가 그믐을 거쳐서 또다시 완전한 Full moon이 되기까지의 주기가 29.5일이라고 합니다. Once in a blue moon은 'every now and then', '가뭄에 콩나듯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말이죠. 실제로 blue moon은 2.72년에 한번 꼴로 출현하게 된다고 하네요. 1999년 1월과 3월에 Twice in a blue moon으로 뉴스에서 떠들썩했던 것을 기억하고 있는 분들 계시죠?  Blu moon에 관한 전설, 민담은 동서양에 많이 있지만, 과학자들은 blue moon도 여느 full moon과 다른 것이 없다고 합니다. 파란 달이 아니구요-^^   MOON Phase search Once in a blue Moon Month(?)를 보내면서 SkyandTelescope.com의 Moon Box utility를 소개합니다. BC 4000년에서 AD 8000년까지 약 120 Centuries의 정확한 Moon appearance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Click and the new Javascript window will pop-up Moon Box는 1582년 이후 Gregorian calendar와 1582년 이전의 Julian calendar를 사용하고, 혹 실수로 2월 29일, 11월 31일과 같은 날을 입력하면 error 메세지가 뜨게 됩니다. 역사기록물에 있는 사실들을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생일이나 특정한 날의 moon phase검색이 가능합니다.eg>* 2차 세계 대전 시기, Stalag Luft III 에 투옥되어 있던 포로들이 독일군으로부터 달아나기 위해   1944년 3월 24일 "Dark of the moon day"를 정하여 탈옥   : 1963년 고전영화 The Great Escape의 소재가 되었던 사건의 날* 고대 그리스의 탈레스는 BC 585년 5월 28일의 일식(total solar eclipse)을 예언한 것으로 유명 <참고자료>네이버 뉴스http://kids.hankooki.com/lpage/news/200706/kd2007062614254577170.htmSkyandtelescope.com http://www.skyandtelescope.com/observing/objects/moon/3305141.html  
2007-06-29 09:39
Comment 2
[화학분야] 읽을 만한 12권의 책과 가볼 만한 12곳의 웹사이트 안녕하세요. 방학이 시작되고 도서관이 바깥 날씨와는 달리 "썰렁"합니다. 자리 쟁탈전이 심했던 시험기간이 언제였던가..싶네요 ^^ 방학 시작 잘 하셨나요? 행복한 오늘이 "작심삼일"의 날이 아니길 바랍니다. 오늘 도서관에 새로 들어온 책 소개 12권과 화학 관련한 유용한 사이트12곳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계절학기 등으로 학교에 남아 계신 분들은 "책"으로, 집으로 돌아가신 분들은 "웹"으로 공부하세요![##_Gallery|cl120.jpg||cl121.jpg||dl121.jpg||dl122.jpg||dl123.jpg||dl124.jpg||dl125.jpg||dl126.jpg||dl127.jpg||width="400" height="300"_##] 화학추천도서 12권 중 일부 cover image입니다. 상세 리스트는 아래 클릭, 도서관 목록에서 확인하세요. [#M_"추천도서리스트 2005-2007 (클릭)"|감추기|[신착전시자료 : 2층 신착도서 전시코너를 방문해보세요]1. Basic ¹H- and ¹³C-NMR spectroscopy2. Bio-based polymers and composites3. Molecular reaction dynamics 4. Strategic applications of named reactions in organic synthesis : background and detailed mechanisms5. Solid state chemistry : an introduction6. Hazardous materials chemistry 7. Cyclodextrins and their complexes : chemistry, analytical methods, applications8. The chemical industry and globalization 9. Greene'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10. Advances in biopolymers : molecules, clusters, networks, and interactions11. Validating chromatographic methods : a practical guide12. Concepts and models in bioinorganic chemistry [앞으로 만나게 될 자료 :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13. Fundamentals of molecular symmetry 14. Handbook of wood chemistry and wood composites 15. The joy of chemistry : the amazing science of familiar things16. Handbook of physical-chemical properties and environmental fate for organic chemicals.17. Data analysis for chemistry : an introductory guide for students and laboratory scientists18. Thin-layer chromatography : a modern practical approach19. Structure and chemistry of crystalline solids 20. Principles of fluorescence spectroscopy21. What sustains life? : consilient mechanisms for protein-based machines and materials22. Polymer chemistry : properties and applications23. Name reactions : a collection of detailed reaction mechanisms24. Shifting and rearranging : physical methods and the transformation of modern chemistry25. The chemistry of evolution : the development of our ecosystem26. The history and use of our earth's chemical elements : a reference guide 27. Ionic compounds : applications of chemistry to mineralogy28. Handbook of photochemistry.29. Crystals and crystal structures 30. Degradable polymers and materials : principles and practice_M#] 화학분야의 유용한 웹사이트 12곳을 모았습니다. 화학과 학생은 물론 관심있는 블로거들 방문해 보세요. 1. Cambridge Crystallographic Data Centre(CCDC) The Cambridge Structural Database (CSD)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로 structure of organic and metal-organic compounds에 관심이 많은 전문가에게 유용한 자료가 많습니다. 유료서비스 외에 Mercury 등 유용한 무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니 방문해 보세요.   2. The Combined chemical dictionary Chapman & Hall/CRC Press 출판사의 compounds 최신 사전(Dictionary of Analytical Reagents, Inorganic and Organometallic Compounds, Natural Products, Organic Compounds, and Pharmacological Agents) 의 집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즐겨찾기 하세요.   3. Electrochemistry dictionary Electrochemistry분야의 용어 사전 페이지입니다. 그래픽이나 인터페이스 면에서 많이 아쉬운 감이 있는 페이지긴 하나, 꾸준한 업데이트로 관련 용어를 알파벳 순으로 정리했습니다.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4. Facility for the analysis of chemical thermodynamics École Polytechnique de Montreal 와 McGill University. 두 대학이 만나 만들어진 프로젝트 그룹 ‘FACT’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로 FactSage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유용합니다.   5. NIST virtual library [chemistry]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의 ‘화학’관련 주제페이지입니다. 관련분야의 DB, 책, NIST의 각종 데이터는 물론 다른 인터넷 자원들로 연결해 주는 화학분야의 리소스 포탈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NIST Chemistry WebBook도 꼭 활용하세요.   6.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주기율표를 인터넷에서 만나보세요. 각 주기율표 내의 원소들을 클릭하면 그들의 프로필이 낱낱히 공개 됩니다.  7. Chemistry.org 과학계의 가장 큰 Society로 알려진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의 웹사이트. 대부분의 서비스가 OPEN ACCESS이나, 회원가입 후 나만의 페이지를 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주간뉴스레터나 RSS서비스 등 유용한 무료 서비스도 활용하세요.   8. College physics for students of biology and chemistry University of Cincinnati의 Ken Koehler교수가 운영하는 온라인 강의교재 입니다. 물리학/생물학/화학을 전공하는 새내기들에게 추천합니다.   9. ToxNet(Toxicology Data Network) 미국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서 운영하는 Web DB입니다.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HSDB), Toxicology Literature Online (TOXLINE) 등 독극물, 위험물질, 위생보건학 등과 관련된 DB를 한 번에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활용하세요.   10. Tox town 미국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서 운영하는 재미있는 디자인의 웹사이트입니다. 우리가 매일 일하고, 생활하는 공간과 관련된 위생보건, 독물질 등을 그래픽으로 표현하여 다른 자원으로 링크해주는 페이지입니다.   11. Lab Tests Online American Association for Clinical Chemistry에서 운영하는 임상실험에 관한 무료 웹리소스입니다. 임상실험에 앞서 해당 질병에 관한 개요와 관련 사이트(리소스) 등을 점검하실 때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2. Linus Pauling research notebooks 노벨평화상 수상자 라이너스 폴링의 46권의 노트북(1922-1994)을 이미지 스캔한 페이지입니다. 빛바랜 노트 위에 폴링의 손글씨로 연구노트, 각종 데이터, 계산과정, 이론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Oregon State University Library에서 구성한 웹노트로 15,360페이지 분량입니다. * 관련분야의 유용한 웹사이트 소개해주세요. 공유의 리플 감사합니다 *
2007-06-28 15:00
Comment 3

Pages

Subscribe to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