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추천도서

검색
(한겨레신문)불멸의 원자
물리학자들의 꿈과 야망, 이론과 실험, 대상과 방법론을 파헤치다! 『불멸의 원자: 필멸의 물리학자가 좇는 불멸의 꿈』은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에서 운영하는 웹진 《크로스로드》에 '페르미 솔루션'이라는 제목으로 연재된 글들을 엮은 것이다. 제목 불멸의...
2016-12-09 16:42
Comment 0
(경향신문)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홍성욱 교수, 과학 본질의 통념을 깨부수다! 토머스 쿤의 ‘패러다임’을 대체할 홍성욱 교수의 ‘네트워크’『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이 책은 한국의 '과학기술학' 담론이 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홍성욱 교수가 쿤의 패러다임 개념을 확장·발전시킨 개념으로 ‘네트워크’를 제시한다. 저자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현대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
2016-12-09 16:36
Comment 0
(경향신문)싸이퍼
삶의 현장에서 건진 날것의 랩! 제14회 사계절문학상 대상 수상작 『싸이퍼』. 힙합에 재능이 있으면서 즐길 줄 아는 도건이와 힙합을 누구보다 좋아하지만 스스로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는 정혁이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최근 청소년들이 흥미로워하는 힙합이라는 소재, 그중에서도 무대 위에서 마이크를 주고받으며 프리스타일로 랩을 하는 ‘싸이퍼’를 통해...
2016-12-09 16:31
Comment 0
(동아일보)먼저 먹이라
마더 테레사의 삶과 업적을 집대성한 책. 2016년 9월 4일은 자비의 특별 희년을 맞아 프란치스코 교황이 집전하는 마더 테레사의 시성식이 열리는 날이다. 제목 먼저 먹이라 저자 마더 테레사 외...
2016-12-09 16:21
Comment 0
(경향신문)어느 인문학자의 걷기예찬
19세기 인문학자, 아널드 홀테인이 걷기를 통해 얻게 된 자연에 대한 성찰을 담은 걷기, 산책, 도보여행에 대한 예찬론『어느 인문학자의 걷기예찬』. 아널드 홀테인은 인도, 캐나다, 유럽 등지를 산책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연과 우주 그리고 인간의 생사를 이야기한다. 우리가 자연을 어떤 눈으로 바라보아야 하는지, 자연이 왜 감탄스러운지, 인간은 왜 겸허해야...
2016-12-09 16:16
Comment 0
(동아일보)언플래트닝, 생각의 형태
하버드 대학에서 출간한 최초의 만화 철학책! ‘하버드 대학이 출간한 최초의 만화책’이라는 독특한 타이틀을 거머쥔 이 책은 컬럼비아 대학 최초로 논문 심사를 통과한 ‘만화 형식’의 논문이다. 학계가 관행적으로 따르던 기존의 연구방식에 반기를 들고 언어와 이미지를 중첩시켜 완전히 새로운 사유법을 선보인 이 책은 발표 즉시 통념과 상식을 뛰어넘는 실험적...
2016-12-09 16:10
Comment 0
(매일신문)CSV 이노베이션
'CSV’는 경쟁 전략 이론과 국제 경쟁 우위 연구로 잘 알려진 하버드 대학 비즈니스스쿨의 교수 마이클 포터 등이 중심이 되어 제창한 경영 모델이다. CSV 모델은 ‘사회적 가치’와 ‘공통선’이 근간을 이루는 경영 모델이다. 『CSV 이노베이션(Innovation)』은 변화된 기업 생태계에서 CSV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방향으로...
2016-11-25 16:27
Comment 0
(경향신문)사일로 이펙트
똑똑한 바보들이 조직을 망친다!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조적 시각과 접근이 필요하다고 흔히들 이야기한다. 우리는 문제점과 ‘구조개혁’ 같은 정답을 너무 잘 알고있지만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한 채 흐지부지한 결과만 남기는 경우가 많다. 제목 사일로 이펙트...
2016-11-25 16:23
Comment 0
(동아일보)트리거
지속적인 변화를 위한 골드스미스 박사의 새로운 통찰! 『트리거(Triggers)』는 경영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싱커스50에서 2015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리더십 사상가 1위로 뽑힌 세계적인 리더십 구루 마셜 골드스미스가 일과 삶에서 우리를 뒤흔드는 심리적 방아쇠 ‘트리거’를 해부한 책이다...
2016-11-25 16:16
Comment 0
(한겨레)태양을 멈춘 사람들
『태양을 멈춘 사람들』은 지동설 혁명에 대해 집중적으로 쓴 책이다. 지동설 혁명은 과학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무엇이 과학이며, 과학을 어떻게 행해야 하는지 다양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주제이다. 책을 통해 과학이론만이 아니라 지동설 혁명 시기의 내밀한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면서, 감정이입하며 흥미롭게 읽어가는 과정에서 과학의 실제 맥락을 좀 더 선명하게...
2016-11-25 16:12
Comment 0

페이지

박태준학술정보관 : 학술정보매거진 구독하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