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기

검색
 Carnegie Mellon 대학,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와 EU 후원을 받는 연구프로젝트(PASCAL NoE, ECOLEAD NoE, SEKT IP),British Telecom의 IT, Computer Science 분야 Scientists, Scholars의 컨퍼런스, Workshop, Lecture를 Open하고 있네요.       VideoLectures <Click>               정보통신, AI, 기계공학, Web technology (Semantic web, Data/text Mining), 컴퓨터공학, Mathematics, Physics, Economics 등 Subject별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2008-01-16 14:13
Comment 0
  Students raises questions that are also relevant to British students and deals with issues such as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funding, student behaviour and new technologies.  Make of it what you will, but I think it will spark an interesting debate!
2008-01-16 14:12
Comment 0
생명과학과의 황인환 교수팀에서 엽록체의 생성 비밀을 밝혀 앞으로 광합성 효율이 높은 식물 육성의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광합성 효율이 높으면 이산화탄소를 많이 흡수할 수 있어 친환경에 기여할 것이라고 합니다. 이 소식은 Nature cell biology 인터넷판 Latest highlight 코너에 실렸습니다.언론 관련 기사 모음 저널 정보Nature cell biology는 JCR 2006을 기준으로 cell biology 분야 156개의 저널중에서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 순위 5위에 해당하는 우수한 저널로 평균 아티클당 인용회수가 약 18회에 이르고 있다.Nature Cell Biology 최신간 목차 RSS로 받기 : RSSFull Journal Title: NATURE CELL BIOLOGY ISO Abbrev. Title: Nat. Cell Biol.  JCR Abbrev. Title: NAT CELL BIOL  ISSN: 1465-7392  Issues/Year: 12   Language: ENGLISH  Journal Country/Territory: ENGLAND  Publisher: NATURE PUBLISHING GROUP  Publisher Address: MACMILLAN BUILDING, 4 CRINAN ST, LONDON N1 9XW, ENGLAND  Subject Categories: CELL BIOLOGY 아티클 정보 Letter Published online: 13 January 2008; | doi:10.1038/ncb1683 AKR2A-mediated import of chloroplast outer membrane proteins is essential for chloroplast biogenesis Wonsil Bae1, 3, Yong Jik Lee1, 2, 3, Dae Heon Kim1, Junho Lee1, Soojin Kim1, Eun Ju Sohn1, 2 & Inhwan Hwang1 1  Division of Molecular and Life Sciences,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790-784, Korea. 2  Current address: Department of Cell Bi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Riverside, CA 92521, USA. 3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to Inhwan Hwang ihhwang@postech.ac.kr Full text Download PDF
2008-01-16 10:36
Comment 0
[방학 중 도서관 이용은?]안녕하세요. 겨울방학 잘 보내고 계신가요? 계절학기 등으로 학교에 남아 있는 분도 여전히 많으시지만, 집에서 방학을 즐기고 계신 분들도 많이 계시지요? 방학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 장기대출 서비스만이 아닙니다. 방학기간 못다한 공부를 위해 전공서적을 잔뜩 빌려가신 분들, 스터디 중 갑자기 필요한 자료가 생길 경우 어떻게 하시나요? 국/공립 도서관의 컬렉션은 전공서적이 드물죠? 이럴 땐 가까운 대학 도서관을 방문해 보세요. 굳게 닫힌 줄로만 알았던 타 대학도서관의 자료를 열람하실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타대학열람신청 서비스 이용하기]도서관 홈페이지의 '도서관 서비스' 하위 항목의 하나로 '타대학열람신청'이라는 것을 보신적이 있으시죠? 학생, 교수, 직원, 연구원 등 포항공대 구성원이 타 기관의 도서관의 자료를 열람할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해당 기관만 입력하면 열람의뢰서를 즉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한 번 발급받으면 3일 간 유효하기 때문에 장기간 이용할 경우 매번 인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대부분의 기관에서 승인받으실 수 있지만 기관에 따라 다른 정책을 갖고 있으니 전화 등으로 해당 도서관에 문의 후에 이용하세요. 최근에는 대학도서관에 자리배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열람석은 이용하실 수 없을지도 모르지만 필요한 자료를 가까이에서 이용하실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방학을 이용해 포항에 계신 대학(원)생 분들은 해당 기관의 도서관을 통해 열람증을 발급받으셔서 청암학술정보관을 방문해보세요 ^^ ** 지역별 도서관 검색은 국립중앙도서관의 공개자료실의 전국도서관안내를 통해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특수도서관 등 대한민국의 크고 작은 도서관을 찾아 보세요. 참고 URL(클릭) **
2008-01-16 09:00
Comment 2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었습니다. 국내/외 학위논문은 아래 웹사이트를 통해 검색/이용이 가능합니다. DBPIA처럼 주제별로 예쁘게 정리한 곳을 원하신다면 실망하실 수도 있겠지만 참고하세요.   [국내학위논문]   1. KERI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페이지로 국내 대학의 학위논문뿐 아니라 학술지, 단행본 등 검색이 가능합니다. 아래 국외학위논문에서 소개할 PQDT, DDOD로의 링크도 메인페이지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알고계시면 유용한 정보들이 가득하니 개인회원가입하셔서 이용해보세요. 2008년부터는 전국 대부분의 대학학위논문의 제출시스템까지 겸하게 되므로 더 방대한 양의 논문을 가장 빠르게 이용하실 수 있게 됩니다.   2.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은 모든 대학도서관들의 납본협약에 따라 국내 거의 대부분의 학위논문에 대한 DB를 갖추고 있습니다. 단, KERIS의 학위논문은 원문 이용에 대해 온라인 접속이 용이한 반면 국회도서관의 원문을 이용하시려면 협정기관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우리도서관 2층에 방문하시면 5개의 검색대가 "국회도서관"용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각 대학의 도서관 및 원문복사 국회도서관이나 KERIS를 통해 학위논문의 DB를 이용하실 수 있지만 발행기관, 개인에 따라 원문까지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검색 후 원문을 이용하고 싶으시면 각 대학의 도서관에서 검색을 통해 이용하시거나, 우리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외학위논문]   1. PQDT & DDOD Proquest에서 제공하는 북미/유럽 지역의 학위논문 DB로 가장 방대한 양의 자료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을 통해 접속가능합니다. 이중 일부 상위대학 학위논문의 원문이 DDOD에서 이용가능합니다.   2. 기타 영어권 국가 학위논문 - 캐나다: http://www.collectionscanada.ca/thesescanada/index-e.html - 영국(BL) http://catalogue.bl.uk/F/616IM8I6L84FP4E1B9KSKMDIG1JBTQQX865NGNUNU1TTF5A3BH-43343?func=file&file_name=find-d - 호주: http://adt.caul.edu.au/   [기타 참고사이트]   - DSpace : 미국 MIT의 지적생산물 통합사이트 - NDLTD : 미국 Virginia Tech을 중심으로한 전자학위논문 생성 시스템 - ePrints : 영국 Southamton대학에서 개발한 주제별 구축 서비스
2008-01-15 14:51
Comment 0
저널이나 단행본 외에 연구/학습에 중요한 정보원 중의 하나로 연구보고서를 소개할까 합니다. 이용해보셨나요? [도서관에서 이용하기]우리 도서관에서는 3층 단행본 서가에 정보원계의 또 다른 소외계층인 학위논문과 이웃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외형적 특징이라면 하얗고 고운, 다소 심심한 자태(?)와 T4.~로 시작하는 청구기호 정도 되겠습니다. 과학기술부 등 정부기관의 보고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분류도 발행 기관별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거의 목록되고 있지 않으나 쭉 한 번 둘러보세요.[yesKISTI]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운영하는 과학기술정보포털서비스 yesKISTI는 애용하는 분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국내외 학술지 논문, 분석/동향, 특허, 표준(규격) 외에 연구보고서가 핵심서비스 중의 하나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등 정부산하 기관의 재정지원을 받아 수행된 10만건 이상의 연구개발보고서의 Metadata는 물론 상당수의 원문까지 제공되고 있습니다. 원문은 회원가입 후 이용하셔야 하지만, Single Sign-On을 통해 과학기술학회마을, 협회마을, 과학기술동영상 지식정보 등 패밀리 사이트로의 접속도 한 번에 가능하니 100배 활용하셔도 아깝지 않을 것 같습니다. [연구마루 R&D 성과전시관]한국과학재단의 성과전시관인 연구마루도 방문해보세요. 기초과학연구사업보고서, 특연사/원자력사업보고서 등 자세한 Metadata와 함께 회원가입 절차없이도 PDF, e-Book 형태로 원문이용이 가능합니다. 특히 주제별로 카테고리 잘 정리되어 있어 이용이 편리합니다. 그외에도 각종 연구동향이나 통계 등 유용한 정보원이 가득하니 자주 찾아 활용하세요.[NASA Technical Report Server : NTRS]마지막으로 보너스 정보 하나 더. NASA, NACA, NIX에서 발행된 회의자료, 이미지, 비디오, 사진, 특허, 논문 외에 연구보고서를 제공하고 있는 NASA의 컬렉션을 소개합니다.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학생, 연구자, 교수, 일반인 누구에게나 강력추천할 수 있는 웹사이트라고 하네요. 역시 Metadata는 물론 원문도 열람하실 수 있으니 즐겨찾기하세요~
2008-01-15 13:03
Comment 0
국내 저널의 논문 풀텍스트를 제공하는 DBPia에서 논문을 이용자의 블로그로 원격 스크랩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블로그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현재는 다음, 티스토리, 태터툴즈를 지원하고 있습니다.실제 블로그에 저장된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2008-01-14 18:10
Comment 0
전에 올린 포스팅(포스터 출력은 특수프린트실에서)에서 중요한 걸 빼먹었네요.특수프린트 신청은 HEMOS > REQUEST > Custom Print에서 해야 한다고 합니다.문의 전화 : 054-279-2533
2008-01-14 17:33
Comment 0
  NASA(미항공우주국)에서는 매년 건강달력을 만들어서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번이 4번째라고 하는데 올해에는 두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합니다.1. 일상에서 개인들이 접하는 많은 역할과 책임의 복잡성2. 건강하게 나이들기를 특히 강조하면서 건강과 웰빙에 대한 생활방식의 선택이 주는 영향이 달력에는 달마다 건강에 대한 학습활동을 부여하고 자신과의 시간을 갖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미국 환경에 맞게 구성되어 있지만 멋진 하늘의 천체를 담은 사진과 함께 좋은 건강정보가 있으니 달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내용 중에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글이 있어 일부 우리말로 옮겨봅니다. 당신이 선택한 현실과 꿈 사이의 균형감을 유지하기 위해서 우선 당신 자신과의 약속이 있어야 합니다. 당신의 건강, 경력, 가족, 커뮤니티에 대해서 말이죠. 이런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를 잘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당신이 원하고 당신이 되고자 하는 비젼을 기르세요.- 일과 개인 시간을 잘 계획하십시오.- 모든 가능성을 볼 수 있는 유연성을 기르십시오.- 어디로 이어지는 지 알 필요가 없는 길을 선택할 만한 자신감을 기르세요.- 커뮤니티의 마인드셋을 기르세요.- 당신 자신을 아세요. 2008년에는 일에서도 삶에서도 균형있고 건강한 한 해가 되길 기원해봅니다. 아자아자! 달력 PDF로 다운받기
2008-01-09 11:00
Comment 2
 과학 기술분야의 거대한 쌍벽을 이루고 있는 학술 저널 Science와 Nature에서는 매년 Top Science of the year 리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서 Nature, Science 저널 사이트에 접속하면, Licence access 가능합니다.  인쇄판에서 제공되지 않는 다양한 정보(Podcasting, Video, 2.0 Communities)와 Advanced Search(사이트 전체, 아티클별 full text 검색)이 가능하고 논문의 전문을 PDF, HTML 형식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활용하고 계시죠? 특히  Podcast, Table of Content e-Alert, RSS feed를 통해 최신 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 주세요 ^^ 학술저널 Science, Nature 편집자들이 선정한 2007 Top Science Stories ! Science : Special Selction Podcast 2007 Top 10 Science & Technology of the year [#M_Note(Click) |Close| 1. Checkers with computer? There's no point.. :Too much time consuming and you'll always loose or It'll end up in a draw at best assuming that you're as perfect as computers which is not even possible. 2. Back to the Future: New relationship discovered - Memory & Imagination are connected.3. Synthetic Chemistry : Are now able to synthesize new complicated molecules.4. Immune System (Differenct functions by the types of T-cells): Function by proximity, How Memory T-Cells and Functional T-cells are formed.  5.Electrons take a new spin(Quantum Spin Holofect): Spintronic Device6.Beyond Silicon :Possible to tailor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s, superconductors, synthesize for your need/application.7. Crystal Structure of the Protein(G-Protein coupled adrenergic Receptor on the cell membrane): Important because 50% of all drugs targets are these type of protein.8. Astrophysics : Tracing Cosmic Bullets, Ultra high energy form the middle of galaxies which are not ours discovered.9. Stem Cell Success 10. Human Genetic Variation_M#] Nature : Research Highlights 2007[##_Gallery|ek040000000005.jpg||ek040000000006.jpg||gk040000000003.jpg||fk040000000003.jpg||ek040000000007.jpg||fk040000000004.jpg||fk040000000005.jpg||width="400" height="300"_##]  ISI가 발표한 Impact Factor 가장 높은 저널 Science, Cell, Nature의 학문 분야별 Research Highlights를 Nature News에서 만나보세요. [#M_Click here for more details !|Close|* 제목 옆에 저널의 원문을 볼 수 있는 링크가 있습니다.   POSTECH Members Only (교외 접속 : Hemos ID/PW 로그인)- Liegroups- Nature Mater (2007)- Science 317,1189–1192 (2007)- Science 317,496–499 (2007)-  Cell 128, 901–913 (2007) - Cell 131, 861–872 (2007)- Nature Biotechnology (2007)                                                                               - Science (2007)- Cell 131,391–404 (2007)- Cell 131,174–187 (2007)- Science (2007)- Cell 130,1005–1018 (2007)- Phys. Rev. Lett.(2007)- Science 318,938–943 (2007)_M#]Science, Nature, Cell  3저널에 모두 실린 그 Article !  Producing primate embryonic cell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 J.A. Bryne et al Cell 131, 861–872 (2007) Nature Biotechnology (2007) Science (2007)  2007년 성인의 체세포로 부터 Stem Cell 만들기 성공 !!  DNA의 이중나선 구조(1953)를 세상에 알린 왓슨 & 크릭 (James D. Watson, Francis Crick), 그들이 2007년 6월과 9월 본인들의 Genome을 full sequencing 하여 발표했습니다. 이제 각 사람의 Complete Genetic Makeup을 정확히 Mapping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인간의 Genetic Variation(양친으로부터 유전된 DNA detailing)은 이제껏 학자들이 생각해 왔던 것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것이 밝혀진 후, 유전병과 관련된 연구(Genome wide disease association studies)가 여느 때보다 활발히 진행된 2007년이었습니다. Personal Genomics라는 새로운 산업의 출현이 이미 시작되었다고 하네요. Science 저널에서는 Human Genetic Variation을 2007년 최고의 Issue로 선정했습니다.  관련 기사 보기 (Click !) Lene Vestergaard Hau (Prof. Harvard university)에 의해 빛을 자전거 속도까지 떨어뜨리는데 성공한 실험으로 빛이 갖고 있는 정보를 물질로 변환하는 완전히 새로운 과학의 세계를열었습니다. 앞으로 이를 응용한 양자 컴퓨터(현재 0.1 대신 양자 비트로 병렬처리할 수 있는 초고속 컴퓨터)의 실현을 기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관련 영상자료 보기 (Click !)  
2008-01-08 16:11
Comment 0

페이지

학술정보매거진 : 전체보기 구독하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