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추천도서

검색
(알라딘)빈방의 빛
“호퍼의 빛, 그 찬란한 고독의 순간” 퓰리처상에 빛나는 계관시인 마크 스트랜드,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과 마주하다 『빈방의 빛: 시인이 말하는 호퍼』는 계관시인 마크 스트랜드(Mark Strand)가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그림 30점에 대해 쓴 글이다. 때론 에세이처럼 때론 미학 비평처럼 써내려간 이 글들은 모두 ‘시인의 글’...
2016-09-23 13:09
Comment 0
(매일신문)다시 시작하는 독서
누구나 책을 읽지만 또 누구나 책 읽기를 멈추기도 한다. 독서 중단에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독서 방법을 잘 모르거나, 자신의 취향이나 수준과 맞는 책을 고르는 훈련이 부족하거나, 독서의 방향을 뚜렷하게 세우지 못 해서인 경우가 많다. 저자는 독서가이자 저술가이자 강연자로 활발히 활동하면서 자신이 직겁 경험하고 실천한 6가지 독서법을 풀어놓는다. 또한...
2016-09-23 11:52
Comment 0
(동아일보)마인드웨어
글로벌 베스트셀러 《생각의 지도》 저자 리처드 니스벳의 최신 화제작! 일상과 비즈니스 모든 영역에서 현명한 선택을 이끌 생각의 작동법 ‘마인드웨어’에 주목하라 제목 마인드웨어 저자 리처드 니스벳...
2016-09-23 11:46
Comment 0
(경향신문)아름다움의 구원
오늘날 우리는 미의 위기를 맞고 있다. 모든 부정성을 제거한 ‘매끄러움’의 미는 굳어져 죽은 것, 좀비가 된다! 소비 대상으로 전락한 오늘날의 미를 구출해내 진정한 아름다움을 되찾기 위한 날카로운 권고.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독창적 시각으로 읽고 분석한 책들을 꾸준히 펴내며 매번 화제를 불러일으킨 한병철 교수의 최신작 『아름다움의 구원...
2016-09-23 11:39
Comment 0
(네이버책)인생은 지름길이 없다
8명의 미국 대통령, 30명의 퓰리처상 수상자, 44명의 노벨상 수상자, 수많은 학술 분야의 대표 문학가, 사상가, 기업 대표를 배출한 명실상부 하버드 대학! 그들을 성공으로 이끈 하버드 대학의 24가지 성공학 명강의. 제목 인생은 지름길이 없다...
2016-09-23 11:26
Comment 0
(중앙일보)블랙박스 사회
왜 블랙박스 사회인가? 그들은 알고 우리는 모르는 감춰진 전략들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기업들은 이제 새로운 구글이나 아마존이 되는 게 목표가 아니다. 그들의 목표는 구글에 얼마에 팔릴 것인가이다. 새로운 기술을 가진 신생업체가 구글을 대체할 가능성보다는 구글에 먹힐 가능성이 훨씬, 아주 훨씬 더 높았다. 창고에서 PC 한 대를 앞에 둔 천재의 성공...
2016-09-23 11:21
Comment 0
(한겨레)착한 과학자들
우리는 또 무엇을 모르고 있는가! 가습기 대참사... 그들에게 과연 윤리는 있었나? 저명한 과학자들은 연구 윤리 문제에 특별한 책임이 있다 《착한 과학자들》은 과학자가 연구를 수행하면서 연구 윤리를 준수하는 것이 왜 지속적인 과학 발전을 위해 중요한지에 대해 다루고 있다.  ...
2016-09-09 14:08
Comment 0
(경향신문)바이털 퀘스천
에너지 진화와 생명의 탄생! 『바이털 퀘스천: 생명은 어떻게 탄생했는가』은 자연선택과 유전자를 중심으로 전개된 20세기의 생물학에서 벗어나 21세기의 첨단 생물학의 현재와 성과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영국 왕립학회 과학도서상을 수상한 생화학자 닉 레인은 진화의 역사에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블랙홀이 존재하며 생명의 기원의 열쇠를 에너지에서...
2016-09-09 14:04
Comment 0
(중앙일보)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
콜럼바인고등학교 총격 사건 가해자 부모의 슬픈 고백 1999년 4월, 미국 콜럼바인고등학교의 졸업반 학생 두 명이 특별한 이유 없이 학교에서 총기를 난사해 같은 학교 학생과 교사 13명을 죽이고 24명에게 부상을 입힌 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사건 중 하나인 이 총격 사건은 피해자와 가해자가 아이들이었기에 사회적인 파장이 더욱...
2016-09-09 13:53
Comment 0
(한겨레)완벽에 대한 반론
『완벽에 대한 반론』에서 저자 샌델은 생명공학의 발전은 밝은 전망과 어두운 우려를 동시에 안겨준다고 말한다. 밝은 전망은 인간을 괴롭히는 다양한 질병의 치료와 예방의 길을 열어준다는 것이고, 어두운 우려는 우리의 유전적 특성을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부 생명공학 기술의 사용에 대해 우리가 느끼는 도덕적 불편함의 정체는...
2016-09-09 13:46
Comment 0

페이지

박태준학술정보관 : 학술정보매거진 구독하기
검색